1. 왜 어떤 국가는 부유하고 어떤 국가는 가난한가? 우선 지리적 요인으로 위도, 육지에 둘러싸인 입지 조건, 천연자원의 저주라는 패러독스, 환경문제와 인구과잉 등이 있는데 이는 공중 보건과 가족계획 및 환경보호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2. 제도적 요인이 국가의 빈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와 좋은 제도는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역설한다. 3. 중국은 세계 1위가 될 수 있는가? 중국의 과거는 대함대를 일곱 번이나 원정을 보냈지만 갑자기 중단해버린 것처럼 요동의 역사였다. 그런데 오늘날에도 중국은 여전히 앞뒤로 급격히 요동치고 있다. 민주 정부가 독재 정부보다 유리하여 중국이 유럽연합이나 미국을 따라잡지는 못할 것 같다고 전망한다. 4. 개인의 위기와 국가의 위기는 어떻게 다른가? 국가나 개인 모두 외적인 압력과 내적인 압력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려면 선택적 변화(selective change)가 필요하다. 5. 위험평가 : 전통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터무니 없는 과민 반응이 아니라 나름대로 타당성을 지닌 조심스런 자세인 건설적 편집증(constructive paranoia)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6. 건강하게 삶의 질을 유지하며 오래 사는 법에서는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택하되 이탈리아인들처럼 올리브와 생선과 채소를 주재료로 대화를 나누며 오랜시간 식사를 하는 것이 답이다, 7. 세계가 직면한 중대한 문제들은 지구의 기후변화(global climate), 국가 간, 국가 내 불평등, 인간에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환경자원의 관리 등이 있는데 해외 원조 프로그램과 사회개혁 프로그램, 공중보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나 중국은 수천 년이나 앞서 갔으면서 왜 유럽에 추월당했을까?"
중국이 유럽보다 발전이 느렸던 이유는 통일된 국가 때문이었다.
중국의 중앙집권적 정치구조때문에 경쟁이 더디었다. 유럽은 통일된적이 없이 각기 작은 나라로 나눠졌기에 경쟁이 치열했다.
콜럼버스는 여러 나라를 다니며 네 번이나 실패한 후 다섯 번째 시도에서 항해를 위한 지원을 얻어냈다. 만약 유럽이 중국 같은 통일 국가였다면 그런 일이 생기기 어려웠다
인생게임에서 이겨라 저자: 임성학 [전국회의원 비서관, 채권관리 실장] (0) | 2022.12.11 |
---|---|
북리뷰]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저자: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0) | 2022.12.06 |
북리뷰] 나혼자만 알고 싶은 실전심리학 저자:왕리 (0) | 2022.12.01 |
북리뷰 ] 인간관계론 저자: 데일 카네기 (0) | 2022.11.30 |
북리뷰 ] 변화의 시작 하루 1% 저자: 이민규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