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나 봉사 해야 하는 이유 - 달라이라마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해리 라이스 교수(심리학)
“이번 연구는 현재의 달라이 라마인 텐진 가쵸가 제시한 ‘타인의 행복을 위해 베푸는 자비로운 행위는 자기 자신을 행복하게 해준다’라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기획했다”
연구 결과- 배우자를 배려하는 행위에서 얻는 감정적인 혜택은 상대방의 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베푸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푸는 사람은 베풂을 받는 사람들보다 약 45% 더 많은 혜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스 교수는 “따라서 자비로운 행동은 그 자체로 자기 자신에게 보상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내용은 ‘감정’(Emotion)저널에 발표됐으며, 미국 정신건강 사이트 ‘사이키센트럴’(psychcentral.com), 국내의 성 전문 인터넷신문 속삭닷컴이 보도했다
철학) 불교 사상 , 불경 자기계발( 철학,처세법)
잡보장경
옛날에 한 사내가 있었습니다. 이 사람은 무엇인가 열심히 하는 것 같았는데도 하는 일마다 잘 풀리지가 않았죠. 그래서 부처님을 찾아가 말했습니다.
“부처님.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습니다. 도대체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부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재칠시를 행하라
무재칠시(재물이필요없는 7가지 보시) - 웃기 /말이쁘게하기/ 눈빛/ 자원봉사/ 자리양보
화안미소 - 온화한 얼굴 옅은미소
언시 말 - 칭찬 위로 격려
안시 눈ㅡ 따뜻한 눈빛
신시 몸 ㅡ 자원봉사
좌시 자리 ㅡ자리양보
부처님께서는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생활화하면 너에게 영원한 공덕이 되리라"라고 하셨다.
보시(베푼다) - 부처님 제자중에 돈이없어서 보시를 못하는 사람이 있자 부처님이 말했다. 돈으로하는것만 보시가 아니다. 말로 남을 칭찬하는것도 보시고 남에게 미소를 짓는것도 보시고, 남을 따뜻한 눈길로 보는것도 보시고, 남에게 친절하게 하는것도 보시라고 하셨다.
코멘트comment - 남에게 잘베풀어야 하는 이유 , 남에게 보시해야 자기 일이 잘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