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 고전 100권 읽기 대학 - 시카고 대학 &세인트존스 대학
로버트 허친스 교수[예일대 졸, 시카고대 총장 ]
시카고 대학 1929년 5대 총장
그는 대학을 졸업한 지 8년 만인 서른 살에 대학 총장이 되었다.
그는 학생들에게 고전 백 권을 달달 외우도록 했다. 반발은 엄청났다. 우리의 지능에 걸맞은 도서를 허(許)하라, 학생들은 비명을 질렀다.
열 권, 스무 권까지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오십 권을 넘어가면서 학교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질문했으며 토론하고 사색에 잠겼다. 고전 백 권을 지르밟으며 지성의 숲을 통과한 학생들은 열등감을 버리고 자신감을 찾았다. 허친스가 대학 개혁을 시작한 지 85년이 지난 현재 시카고 대학은 8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시카고대학생들은 “시카고 플랜”이 발표되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에디슨, 처칠, 아인슈타인의 독서교육처럼 머리에 인이 박히도록 100권의 고전 철학을 읽어 나가는 동안 시카고대학생들의 두뇌는 초특급 두뇌로 서서히 변하기 시작했다.
세인트존스 대학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와 뉴멕시코주 산타페에 두 개의 캠퍼스
'우리는 왜 대학에 가는가'라는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세인트존스 대학은 학과나 전공이 아예 없다. 커리큘럼이라고는 4년간 고전 백 권 돌파가 전부다. 세인트존스 대학 신입생 중 고교 성적이 상위 10% 안에 들었던 사람은 10% 내외다. 미국의 명문대 벨트인 이른바 아이비리그에는 상위 10% 출신이 100%에 가깝다. 명백하게 우등생들과 열등생들의 경쟁이다. 4년 후 변화가 일어난다. 세인트존스에서는 학자와 사상가들이 쏟아져 나온다. 아이비리그에서는 월급쟁이들이 쏟아져 나온다.
소크라테스 질문법 =문답법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고 그것에 대해 다시 질문하는방식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문답법의 주요소로는 비판적 질문과 적극적 경청을 꼽을 수 있다. 대화를 통해서 그 사람이 원래 알고 있던 지식을 상기해 내도록 하는 것이다.
되풀이 해서 하는 깊이 있는 대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스승인 소크라테스는 깊이 있는 질문에 단련되도록 하는 연습이 학생들에게 논리적으로 자신의 사고를 살펴보고 그 사고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게 해 준다고 믿었습니다.
사례
소크라테스가 말했습니다."민중이란 누구인가?"
청년이 대답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러면 다시 소크라테스가 묻습니다. "가난한 사람이란 어떤 이들이지?"
청년은 "항상 돈에 쪼들리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라고 합니다.
소크라테스 曰 "부자들도 대개 돈이 부족하다고 늘 아우성이다. 그러면 부자도 가난한 사람 아닐까?"
스티브 잡스
소크라테스와 점심을 먹을 수 있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을 포기할 수 있다(I would trade all of my technology for an afternoon with Socrates)
북리뷰] 기억의 뇌과학 저자: 리사 제노바[하버드 대학에서 신경학 박사 ] (0) | 2022.09.30 |
---|---|
북리뷰 마켓컬리 저자 김난도 (0) | 2022.09.25 |
북리뷰] 골프독학의 모든것 저자:이봉철 (0) | 2022.09.22 |
북리뷰] 채근담 저자:홍자성 [명나라 만력제 당시 사람] (0) | 2022.09.22 |
북리뷰] 나는 혼자일때 더 잘한다 / 저자:모라 애런스 (0) | 2022.09.22 |